티스토리 뷰
목차
1편에서 보시다시피 다른 원인을 감별해 주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역학을 알아보는 것도 중요합니다. 그리서 이번에는 섬유근육통의 두 번째로 섬유근육통의 역학 및 치료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섬유근육통의 역학
섬유근육통의 역학은 다양한 인구 집단에 걸친 질병의 유병률, 분포 및 결정 요인을 조명하기 때문에 섬유근육통을 이해하는 데 중요합니다. 섬유근육통의 역학에 대한 확장된 견해는 다음과 같습니다.
섬유근육통은 비교적 흔한 질환으로, 전 세계 인구의 상당 부분에 영향을 미칩니다. 연구에 따르면 섬유근육통은 인구의 약 2-8%에 영향을 미치며, 사용되는 진단 기준과 연구 대상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섬유근육통으로 진단될 가능성이 남성보다 7-9배 높은 여성에게 가장 많이 발생합니다.
섬유근육통은 소아를 포함한 모든 연령대의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20세에서 50세 사이의 사람들에게 가장 흔하게 진단됩니다. 약 80세까지 나이가 들수록 유병률이 증가하다가 이후 감소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진단의 최고 발생률과 증상의 중증도는 성인 중기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섬유근육통 유병률의 상당한 성별 차이는 주목할 만하며, 여성이 이 질환에 걸릴 가능성이 훨씬 높습니다. 이러한 차이는 성별 간의 통증 인식, 호르몬 요인 또는 유전적 민감성의 차이 때문일 수 있습니다.
섬유근육통은 전 세계적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모든 민족 집단에 영향을 미칩니다. 그러나 유병률은 지역과 민족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일부 연구에 따르면 산업화된 국가에서 더 흔하며 이는 생활 습관 요인, 의료 접근 및 진단 관행과 관련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차이의 이유가 완전히 이해되지 않고 유전적, 환경적, 사회적 및 문화적 요인을 포함할 수 있지만 민족적 차이도 관찰됩니다.
섬유근육통은 만성적인 특성과 이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장애로 인해 사회경제적으로 상당한 영향을 미칩니다. 섬유근육통이 있는 사람들은 종종 그 질환이 없는 사람들보다 업무 생산성 저하, 높은 의료비, 그리고 더 자주 장애 주장을 경험합니다. 섬유근육통과 관련된 만성적인 통증과 피로는 직무 수행과 일상 활동에 영향을 미치면서 상당한 생활양식의 장애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연구 결과, 섬유근육통 발병과 관련된 여러 가지 위험 요인들이 발견되었는데, 나이, 성별, 류마티스 관절염과 같은 다른 자가면역질환과 같은 건강 상태들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또한 스트레스와 외상과 같은 심리적 요인들도 섬유근육통 발병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과민성장증후군, 만성피로증후군, 우울증과 같은 동반 질환은 흔하고 섬유근육통의 역학적 상황을 복잡하게 만듭니다.
섬유근육통의 보고된 발병률과 유병률은 진화하는 진단 기준과 상태에 대한 인식 증가에 영향을 받아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했습니다. 진단법이 개선되고 인지도가 높아짐에 따라 더 많은 사례가 파악되고 있으며, 섬유근육통의 역학적 패턴에 대한 이해가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섬유근육통의 역학을 이해하는 것은 의료 자원을 계획하고 할당하고 공중 보건 전략을 설계하며 이 쇠약한 상태를 더 이해하고 퇴치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섬유근육통의 치료
섬유근육통의 치료는 증상을 완화하고 전반적인 기능 능력을 향상시키며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일반적으로 약리학적 치료, 비약물학적 치료 및 생활습관 조정을 결합한 포괄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섬유근육통에 사용할 수 있는 치료법에 대한 확장된 개요는 다음과 같습니다.
아세트아미노펜, 이부프로펜, 나프록센과 같은 처방전 없이 살 수 있는 진통제는 섬유근육통의 통증 증상을 관리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질병의 만성적인 특성 때문에 장기적인 부작용을 피하기 위해 신중하고 의료 감독하에 사용해야 합니다.
항우울제들은 섬유근육통과 관련된 고통과 피로를 완화하기 위해 흔히 처방됩니다. 둘록세틴 (심발타)과 밀나시프란 (사벨라)과 같은 약물은 섬유근육통을 치료하기 위해 특별히 승인되었습니다. 아미트립틸린 또는 플루옥세틴은 수면 촉진을 돕기 위해 권장될 수도 있습니다.
항경련제는 원래 뇌전증을 치료하기 위해 개발된 약물은 특정 유형의 통증을 줄이는데 유용할 수 있습니다. 가바펜틴(뉴론틴)과 프레가발린(라이카)은 일부 환자의 섬유근육통 증상을 줄이는 데 효과가 있는 항경련제입니다.
근육 이완제는 때때로 시클로벤자프린과 같은 약물을 사용하여 근육 긴장을 줄이고 수면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비약물요법 물리치료는 힘, 유연성, 그리고 체력을 향상시키는 운동들을 가르칠 수 있습니다. 수성 운동은 근육과 관절에 덜 스트레스를 주기 때문에 특히 유용할 수 있습니다.
인지 행동 치료 (CBT)의 경우 이런 종류의 치료는 감정과 행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사고 패턴을 바꿈으로써 고통과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CBT는 통증 인식과 대처 전략을 향상시키기 때문에 섬유근육통에 대한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 중 하나로 나타났습니다. 작업치료의 경우 작업치료사는 신체의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작업 영역이나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방식을 조정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상담의 경우 지원적 상담이나 집단 치료는 타당성과 격려를 제공하고, 회복력을 기르는데 도움을 주며, 만성적인 고통과 함께 살아가는 데 따르는 어려움에 대처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대체 요법의 경우 많은 환자들이 침술, 마사지 요법, 요가, 태극권, 명상과 같은 대체 접근법을 사용하여 완화를 찾습니다. 이러한 치료법들은 사람마다 효과가 다르지만 스트레스와 고통을 줄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라이프스타일의 변화 운동의 경우 충격이 적은 규칙적인 운동은 힘을 기르고, 스트레스를 줄이며, 우울증을 낮추며, 수면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걷기, 수영, 자전거 타기, 수상 에어로빅을 자주 권장합니다. 식이요법의 경우 섬유근육통에 대한 특별한 식이요법은 없으나 과일, 채소, 기름기가 많은 단백질, 통곡물 등이 풍부한 균형 잡힌 식이요법을 섭취하면 에너지 수치와 전반적인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습니다.